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아줌마 이야기] 증명사진 속 우리들의 모습

[2009-03-03, 00:04:05] 상하이저널
지난 설날 친정에 들렀을 때, 아버지로부터 엄마가 요즘 부쩍 삶의 의욕이 없으시다는 얘기를 듣고는 여기 상해에라도 모셔와서 기분전환이라도 시켜드릴까 싶어 여권을 챙겨봤더니 이미 갱신기간이 지나 새로 만들어야 할 상황이었다. 혼자서는 시청에 조차 가기 힘들어 하시길래 점심 먹으러 밖에 나온 김에 바로 시청으로 향했다.

여권에 쓸 사진이 필요해서 우린 시청 옆 근처에서 사진관을 찾았다. 머리손질도 제대로 안하고 나오셨다고 사진 찍기를 자꾸 주저하시는 엄마 손을 억지로 끌다시피 해서 사진관으로 들어섰다. 시대가 시대인지라 10분여 만에 사진이 나왔다.

내가 보기엔 엄마 모습 그대로인 것 같은데, 엄마는 사진을 보고 꽤나 기분이 상한 듯 한참이나 말이 없으셨다. 사진을 빤~히 들여다보시며 “어머, 어쩜, 내 모습이 이러니?” 또 한참을 있으시다 “나이는 못 속인다더니 사진을 보니 정말 내가 이렇게나 늙어버렸네” 하며 긴 한숨을 쉬시는 것이었다.

순간, 뭐라고 위로를 해드려야 할지 나도 당황스러웠다. 옆에 서있던 딸아이도 사진을 보며 ‘우리 외할머니가 이렇게 변해버렸네’ 생각만 할 뿐 쉽사리 말문을 못 열고 있었다. 사진 속의 우리엄마의 모습이 왜 그렇게나 왜소하고 외로워 보이기까지 하든지, 순간 내 마음속에선 이미 서글픔의 덩어리가 뭉클 치솟아 오르고 있었다.

집에 돌아와서도 사진 속의 당신의 모습이 영 맘에 걸리는 모양, 속상하신 듯 아버지께 연거푸 하소연을 하셨다. 아버지는 다 커버린 손녀 앞이라 그런지, 처음엔 ‘우리가 다 그렇지 뭐 나이가 들긴 들었잖소’ 하시며 말끝을 흐릴 뿐이셨다.

갑자기 “그 사진관에선 왜 뽀샵도 안 해준거야?” 옆에 있던 딸아이가 속상해서 한마디 거든다. “그렇네! 그 사진관 사진 찍는 솜씨가 영~ 형편없네” 아버진 드디어 위로할 한마디를 찾으신 듯 큰소리로 곁에서 같이 거드셨다. 기운이 하나도 없는 듯한 살아온 세월이 허망하기만한 듯한 두 분의 대화를 옆에서 듣고 있자니 엄마의 속상함이 쉽사리 사그라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 같아 나도 괜시리 사진사 아저씨가 원망스럽기까지 했다.

나도 2년여 년 전쯤에 여권을 새로 발급받느라 남편이랑 같이 여권사진을 찍은 적이 있다. 그 때의, 우리 둘의 심정도 지금의 우리엄마랑 별다를 바 없었다. 각자 자신의 사진을 받아 들고는 부쩍 나이 들어 보이고 이젠 젊음의 티라곤 하나도 찾아 볼 수 없는 사진 속의 우리들의 적나라한 모습을 보고는 적지 않게 실망을 했었다.

내 사진을 본 남편은, 위로는커녕, “당신은 똑같이 나왔네. 똑 같은데 뭘? 그런데 내 사진은 정말 못 찍은 거 같다” 나도 질세라 “자기도 똑같이 나왔거든. 자기 그렇게 생겼거든” 했었다. 우린 사진 속의 모습에서 변해버린 우리들의 적나라한 모습을 보면서, 감출 수 없는 세월의 무게감 때문에 서로서로 내심 무척이나 속상해하며 마음 아파했었다.

그래도 우린 서로의 사진 속의 모습에 그나마 웃으면서 ‘이건, 좀 못나왔네. 다음엔 좀 잘나오는데 가서 찍으면 되겠지’ 하며, 스스로를 위안할 수 있는 마음의 넉넉함과 세월의 넉넉함을 계산하고 있었다. 원판불변의 법칙을 완전히 잊고선….

사실상, 증명 사진이라는 게 혼자서 찍어야만 하는 거라 표정 관리 하기가 무척 어렵다. 친구들과 가족들과 어울려 찍을 때와는 완전히 다른 보통은 굳은 표정인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다. 그래서인지 왠지 모르게 내 모습이 아닌 거 같고 그래서 실망감은 더더욱 커지는 것 같다.

엄마도 나랑 손녀딸이랑 손자랑 같이 웃으면서 찍었으면 훨씬 더 젊게 온화한 모습으로 나왔을 게다. 우리들의 증명사진들은 누구에게나 기쁨보다는 실망을 더 안겨주는 듯하다. “엄마, 여권에 있는 사진 엄마하고 출입국에 있는 사람들만 보는 거니까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했다. 이 말도 엄마에겐 전혀 위로가 되지 않는 듯 아무 말씀이 없으셨다.

▷아침햇살(sha_bead@hanmail.net)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독자투고]과외(공부) 시키는 어머니 마음 2009.03.03
    이번 방학 때 한국에 나가지 않고 겨울을 상하이에서 보내면서 환율도 올랐겠다, 경험도 쌓을 겸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특별한 건 아니고, 한국인 초등학생 수학 과..
  • 알고보면 재미있는 고사성어 2009.03.02
    완벽귀조 (完壁归赵 wán bì guī zhào) 전국시기, 조(赵)나라 혜문..
  • 연길시 2009년 고정자산투자 174억元 2009.03.02
    지난 20일에 있은 연길시 2009년 고정자산투자 및 프로젝트 건설사업회의에 따르면 올해 연길시 고정자산 투자총액이 지난해보다 38% 성장한 174억위엔으로 확정..
  • 조선족 유학생, 한양대학총장 특별상 수상 2009.03.02
    지난 19일 오후 한양대학에서 열린 2008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에서 조선족 유학생 김휘(25) 씨가 우수한 성적과 교내외 활동 등을 인정받아 총장특별상을 수상하..
  • 하얼빈 한식점 불황… 매출 최고 30% 줄기도 2009.03.02
    하얼빈의 한국음식점, 북한음식점, 조선족 음식점 등 한식당들이 경제불황으로 인한 겨울을 맞고 있다. 하얼빈시조선족상공회와 하얼빈한국인회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하얼..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7.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8.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9.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10.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5.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6.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10.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7.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8.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9.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