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교육칼럼] What a boring world!

[2010-04-02, 21:02:43] 상하이저널
시사 주간지인 Time 매거진에서는 지난 3월 11일 웹사이트를 통해 “10 Ideas for the Next 10 years” (향후 10년 동안 일어날 10개의 아이디어)를 다루었습니다.

10개의 아이디어 중 아무래도 중국에 살고 있다 보니 세계의 경제적 정치적 지형 변화와 관련하여 향후 미국과 중국의 정치/경제적 위치에 대한 전망이 제일 먼저 눈에 띕니다.

그러나 제가 개인적으로 더 흥미 있게 읽은 부분은 마지막 10번째의 “The Boring Age (Michael Lind)”였습니다.

저자는 현대 사회가 정보혁명과 세계화로 빠르게 성장해왔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는 도리어 “정체의 시대 (a period of stagnation)에 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그는 첨단기술 (cutting-edge technology)라고 지칭되는 것들은 사실 이미 19-20세기에 발전된 technology의 조합일 뿐, 현대 사회의 삶의 양식을 그리 크게 바꾸지는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광풍처럼 유행하는 스마트폰은 기존에 있던 TV, Internet, telephone, mp3 player를 조합한 것에 불과하며, 아무리 이머징 마켓이 매 시대마다 재발견/재창조된다 하더라도 미국 중심의 경제질서는 향후에도 그리 달라질 것 같지 않다는 것이지요.

그의 예측을 읽어보며, 창의력을 갖추도록 요구 받으면서도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없는 교육적 사회적 분위기에서 자라나는 젊은 세대들을 생각해봅니다.

21세기의 현대인들은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과잉의 정보를 흡수하고 더 많은 경쟁에 노출되면서 자기만의 시간을 통해 흡수한 내용을 소화하고 성찰한다거나, 생체리듬을 거스른 지나친 조급함을 내려놓을 기회를 박탈당한 듯 합니다.

복잡함은 때로 생각을 마비시키고, 창의력의 범위를 제한합니다. 기존의 누적된 기술, 과잉 공급되는 정보, 세계화의 경제질서로 시장은 양적으로 팽배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변화를 불러온 낱낱의 사건들은 새로운 방향을 향하기 보다 소비와 경제중심의 기본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약간의 조정만 거치고 있는지도 모르지요.

이런 흐름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요?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박사는 “Five Minds for the Future”라는 책에서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능력 중에 하나는 여러 정보를 통합(synthetize)하고 이를 통하여 가장 넓은 의미의 질문을 던지고 다룰 줄 알며(raise and address the largest questions) 이를 통해 그 지식을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확대(extend it in new and unfamiliar ways)시킬 줄 아는 능력이라고 지적합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키워드는 바로 통합, 깊은 질문, 새로운 방식으로의 확대입니다. 정보화 시대에서 빠른, 그리고 과잉된 정보 공급으로 인해 이제 정답을 찾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게 되었습니다.

도리어 이러한 변화 속에서 더 중요한 것은 이에 대해 깊은 질문을 던질 줄 알고 이를 새로운 방법으로 확대해가는 능력인지도 모릅니다.

정보를 통합하고, 깊은 질문을 던지고, 이를 통해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를 확대시키지 못한다면 앞으로 10년 동안 우리와 젊은 세대들은 겉은 화려해도 지루해 죽을 지경인 “시대에 대한 권태기”에 시달릴지도 모르니까요.

ⓒ 상하이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려대 영어교육과 졸업 후 서울 Cardiff Language School에서 3년간 근무했다. School for International Training에서의 영어교육학 석사취득, Colegio Real de Minas (Mexico)에서 근무하며 다문화와 영어교육에 대한 평생 화두를 얻었다. 현재 SETI에서 6년째 TOEFL, SAT, Literature 강의를 맡고 있다.
arimaha@naver.com    [김아림칼럼 더보기]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교육칼럼] 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기 2010.03.05
    많은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들어가거나 대학에 입학하여 저학년 때보다 성취율이 현저히 떨어지곤 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때부터 학원 및 과외를 통해 선행 학습을 시작하..
  • [교육칼럼] Purposeful Reading 2010.02.13
    외국어 교육에서 읽기의 중요성은 논박의 여지가 없을 만큼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집니다. 유명한 언어학자 Krashen는 외국어 습득acquisition (학습le..
  • [교육칼럼] TOEFL 시험은 언제, 어떻게 준비하나요? 2010.01.03
    영어를 모국어로 쓰지 않는 화자들의 영어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고안된 여러 영어 공인 시험들 중 (TOEFL, IELTS, TEPS, TOEIC, TOSE..
  • [교육칼럼] 단어는 form, meaning, use다 2009.12.13
    우리가 외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바로 어휘입니다. 초짜도, 고수도 끊임없이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바로 어휘이지요. 해도 해도 끝이 없는 단어..
  • [교육칼럼] 입시 포트폴리오를 스스로, 미리 준비하자 2009.11.13
    주식 하는 분들이나, 아트를 전공하는 학생들이나, 논문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주로 쓰던 용어였던 ‘포트폴리오’(portfolio)가 이제 우리 말 속에 많이 자리잡..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4.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7.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8.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9.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10. 순환 열차로 떠나는 장삼각 여행지

경제

  1.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2.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3.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4.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5.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6. 中 5월 CPI 전년비 0.3%↑
  7.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8.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9.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10.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사회

  1.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2.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3.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4.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5.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6.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7.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8.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9.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5.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3.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4.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5.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6.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7.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