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김성태 칼럼]하얼빈 빙등제를 가다!

[2011-02-10, 11:45:26] 상하이저널
-안중근의사를 추모하며-

낮기온 영하 22도의 하얼빈공항

2011년 새롭게 시작된다고 신문, 방송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고 한 게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벌써 달력의 첫 장을 넘긴다. 세월의 빠름을 새삼스레 더욱 느끼게 되는 요즘이다. 이번 지면에는 지금까지 금융•경제적인 부분에서 조금 벗어나 얼마 전 하얼빈(哈尔滨)을 다녀온 감상문을 써보고자 한다. 간다 간다 예전부터 생각만하다가 지난 출장길 끝에 마침 주말이 걸려있어서 내친 김에 별반 사전 준비도 없이 하얼빈 길에 올랐다. 막연히 신문, 방송으로만 듣던 유명한 빙등제를 내 눈으로 직접 볼 심산이었다. 추위를 워낙 많이 타는 체질에도 불구하고 영하 30도 가까이 되는 날씨가 좀 두렵기는 했지만 작정하고 비행기에 올랐다.

베이징에서 출발하는 비행기에서 좀 시간이 지나고 보니 아래로 보이는 중국 동북방의 산천은 온전히 하얀색으로 뒤덮여 있었다. 중국대륙의 넓음을 실감하며 잠시 생각에 잠겨있는 사이에 비행기 기내에서 착륙을 알리는 안내방송과 함께 도착 지역의 현지 기온을 알려주는데 정오 무렵인데도 영하 22도란다. 설레는 마음으로 도착한 처음 온 하얼빈공항은 지금까지 중국내에서 출장을 다니며 중국의 발전을 실감하게 했던 다른 여느 도시들과는 다르게 10년 정도는 뒤쳐진 조금은 옛스런 모습이다. 하얼빈공항에 도착해 방한복을 껴입으니 실내라서 그런지 땀이 나기 시작한다. 공항을 나서니 더운데 있다가 나와서 그런지 처음에는 시원한 듯하다가 코끝이 찡한 찬 바람이 휙 폐부까지 들어오는 느낌이다.

하얼빈에서 떠올리는 ‘안중근의사’

즉흥적으로 결정해서 특별히 고민하지 않았던 여정인지라 일단 하얼빈시내로 무작정 들어가기로 하고 공항버스에 올랐다. 시내로 들어가면서 제일 먼저 떠오르는 생각이 ‘안중근의사’였다. 역사지식과 관심이 많이 미흡한 나에게 스스로 생각해도 참 대단한 발견을 한 것처럼 먼저 안중근의사 관련 장소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동하면서 전화로 몇 곳에 문의하니 안중근의사께서 의거하신 하얼빈역 현장인 1번 플랫폼 시계탑 밑에 의거장소를 기념하는 표시 하나가 있고, 조선문화예술원 안에 안중근 기념관이 있다고 한다.
 
일단 먼저 기념관을 찾아가기로 하고, 시내에 도착해서 차에 내리니 상하이와는 사뭇 다른 차가움이 볼이 얼어붙은 느낌만큼이나 차갑게 다가온다. 택시 잡기도 만만치 않고 내린 곳으로부터 거리상으로도 가까운 것 같아 물어 물어 찾아가기를 1시간 가까이 엄동설한 속을 헤맨 끝에 기념관을 찾았다. 찾는 중에 하도 헤매어서 포기할까도 하다가 왠지 모를 오기와 호기심으로 찾아가니 폐관시간을 30분 남기고 간신히 도착하였다. 안중근의사 기념관이 2층에 깨끗하게 잘 정리되어 있었다. 시간대별로 행적별로 정리되어 붙어 있는 관련 사진들과 글을 보다가 이내 생각보다 더욱 깊이 안중근의사에게 빠져들어갔다.

안중근 기념관에서 느낀 뜨거운 무엇

어느 한 부분에 이르러서는 글을 읽다가 갑자기 나도 모르게 내 눈에 눈물 방울이 맺혔다. 의거를 하시기로 결심하고 하얼빈에 처음 오셔서 아내에게 보내는 서간문으로 기억되는데 ‘당신 생각에 눈이 뜷어질 것 같으오’라는 표현을 보고서 가슴속에 뜨거운 무엇인가가 흘러내렸다. 가족들과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이 모든 것을 뒤로하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이 한 몸 바치겠다고 생각했던 그 맑은 정신과 시대적 사명을 실천하신 모습이 내 한 몸뚱이를 위해, 가족을 위해 살아가는 내 자신이 비춰지며 어디 몸을 숨길 때가 없는 부끄러움이 느껴졌다. 상하이에서도 혼자 몇번 간 적이 있는 홍커우(虹口)공원내의 윤봉길의사 의거 기념장소인 매헌(梅轩)에서 보았던 윤봉길의사 글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글과 겹쳐지며 새삼 시대정신으로 살아가신 선조들의 가슴 뜨거운 조국사랑을 느껴졌다
 
그래도 하얼빈까지 왔으니 그 유명한 빙등제를 보기 위해 길을 찾아 나섰다. 강 건너편에 빙등제로 유명한‘冰雪大世界(빙설대세계)’라는 곳으로 찾아가 들어가려고 하니 주말에는 입장료가 330위엔이란다. (평일에는 280위엔) 중국 어디나 관광지의 입장료가 비싼 것에 놀라지만 새삼 잠시 구경만 하고 갈 건데 이 돈을 주고 봐야 하나 망설이다가 언제 다시 올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비싼 입장료를 끊고 들어갔다. 송화강의 두꺼운 얼음으로 만든 각종 건축물형상과 형형색색 조명이 아름답게도 구성되어 있었다. ‘아이들과 함께 와야지’싶다가도 북방의 추운 날씨 속에서, 아이들에게 구경보다는 빨리 숙소로 가자고 보챔을 당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들었다.
하얼빈을 떠나오면서 자꾸만 머릿속에 자리잡은 안중근의사에 대한 생각 속에서 중국에서 내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 지금 이 시대의 나에게 부여된 시대적 사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발길을 돌렸다.



안중근의사 유언(1910)
일본 헌병에게 가혹한 고문을 당했지만 사형전날까지 애국충정에 더욱 당당했다. 사형 이틀 앞두고 여순감옥에서 마주보고 대화하는 사람은 프랑스 신부, 두 동생이 형님의 유언을 지켜보고 있다.


안중근의사 유언
<동포에게 고함 >

내가 한국 독립을 회복하고 동양 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 풍찬노숙 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이 곳에서 죽느니

우리 2천만 형제자매는 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에 힘쓰고 산업을 진흥하여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독립을 회복하면 죽는 자 유한이 없겠노라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공원 곁에 묻어두었다가
우리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반장해 다오.

나는 천국에 가서도 또한 마땅히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다.

너희들은 돌아가서 동포들에게 각각 모두 나라의 책임을 지고
국민된 의무를 다하여 마음을 같이 하고 힘을 합하여 공로를 세우고 업을 이르도록 일러다오.

대한독립의 소리가 천국에 드려오면
나는 마땅히 춤추며 만세를 부를 것이다.

ⓒ 상하이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laton@goodi.com    [김성태칼럼 더보기]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김성태 칼럼] 2011년 재테크 지도 hot 2010.12.19
    아직까지 실감이 나지는 않지만 2010년 경인년(庚寅年)이 가고, 토끼띠의 해인 2011년 신묘년(辛卯年)이 눈앞에 다가왔다. 이제는 세월에 빠름에 좀 익숙해진..
  • [김성태칼럼] 심상치 않을 것 같은 2011년 hot 2010.11.21
    최근 몇 달 동안 한국과 중국 등 전세계 주식시장이나 금융시장은 동반 상승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11월 들어 중국의 금리인상을 시발로 웬..
  • [김성태칼럼] ‘인민폐 본격 상승하는가?’ hot 2010.10.03
    미국의 갖은 인민폐 상승 요구에도 꿈쩍도 하지 않던 인민폐가 최근 들어 달러대비 최고치를 경신하며 본격적으로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다. 인민폐 환율의 변화는..
  • [김성태 칼럼] 유럽에서 중국을 느끼다. 2010.09.05
    이번 여름에 식구들과 벼르고 벼르던 유럽여행을 다녀왔다. 어찌 보면 배부른 얘기 같지만, 필자의 여행 편력에 비추어 보면 첫번째 유럽여행으로 많이 늦음 감이 있는..
  • [김성태 칼럼] 2010 하반기 재테크 지도 2010.07.17
    올 초 .희망에 찬 경인년(庚寅年) 새해를 맞이하며 인사를 올린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상반기를 마무리하고 하반기로 달려가고 있다. 본지 지면을 통해..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7.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8.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9.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10.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5.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6.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10.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7.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8.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9.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