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중국 실버타운 현황 및 중국내 CCRC형 실버타운의 전망

[2011-07-09, 00:54:53] 상하이저널
 한국에서 유학 온 대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금융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나누고자 진행하였던 한⋅중 금융아카데미가 올해가 3년째로 여러분들의 도움으로 3기를 무사히 잘 마치었다. 정말로 많은 자원 봉사자들이 아낌없이 지원해 참여해 주었다. 학생들 또한 주말의 시간을 본 프로그램 참여에 온몸으로 바치어 참여해주었다. 나눔과 배움이라는 모토에 걸맞게 잘 진행되어 온 것에 강사분들과 학생들께 지면을 빌어 감사를 드린다.

각 과정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발표한 내용 중에 훌륭한 발표 내용들이 많이 있어, 금번에는 '중국실버산업'에 대하여 학생들이 조사하고 발표한 내용을 독자들께 소개해 드리고자 한다. 향후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리고 이러한 힘들이 모여 한국과 중국간의 자본시장 발전에 좋은 초석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김성태(신한금융투자 상해사무소 수석대표)
 
우리 조는 제3기 한중금융아카데미(김성태원장)에 참가하여 중국양로원의 실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싵버타운의 성공가능성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상하이에는 전국에서 노인인구 비율이 높고, 노령화 진행속도가 가장 빠른 중국 도시 중 한 곳이다. 그러나 노인을 위한 양로원이나 실버타운 등의 조성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 조는 상하이 현지 양로원 3곳(东方老年公寓,日月星养老院, 亲和源)을 방문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중국양로원의 형태는 세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병원형 양로원으로 기존 병원을 개조하여 노인환자만 입주시켜 운영을 하고 있어서, 특성화된 노인병원에 가까웠다. 하지만, 한 병실에 6~8명의 노인환자가 입실해 있어 여가활동이나 개인적인 공간은 전무하였다. 두 번째는 기숙사형 양로원으로 시설이 매우 열악하였으며, 상주직원수가 적고 제공되는 식사가 부실하였으며 특히 연계병원이 없어 응급환자 발생시 신속한 처리가 어려워보였다. 또한 문화활동 및 관련시설이 유명무실하여 입주노인의 여가생활이 어려워 보였다. 세 번째는 호텔형 양로원으로 내부시설은 기존 호텔인테리어와 원룸식 가전제품 배치로 이용자의 편의를 높였다. 근거리에 내부병원도 위치하여 노인환자의 상시 진료가 가능하여 노인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비용면에서는 거동이 가능하며 정상판단능력을 가진 70세 노인의 경우로 계산하였을 경우, 병원형과 기숙사형은 월간 거주비, 식대비, 수속비 등을 합해 월 3만위엔에서 4만위엔 가량 소요되었다. 호텔형 양로원은 회원제로 운영되어 회원가입비 100만위엔을 필요로 했다. 일반 중국인의 기존 수입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월간 3~4만위엔의 양로원 비용은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중국 양로원의 시설이 과연 중국 노인에게 적합한 조건인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상하이에서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 중에 "上海城市老年公寓的现状调查与展望"(도표1)을 토대로 보면 중국 노인이 원하는 양로원의 시설적인 조건은 녹지율, 건강검진시시설, 가전제품설치, 헬스, 식당 등으로 나열된다. 또한 "上海《运用市场机制推进老年公寓建设》课题第一阶段调研成果"(도표2)자료를 보면 중국노인이 희망하는 양로원의 소프트웨어 조건은 의료서비스, 문화활동, 헬스, 식당서비스 등으로 나열된다.

이 두 자료를 토대로 중국노인이 원하는 양로원의 모습은 한국의 실버타운 개념에 가깝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특히, 한국에서도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CCRC(연속적인 은퇴자 주거 및 의료복합타운)형 실버타운이 중국 노인의 요구조건에 매우 근접함을 알수있다. CCRC형 실버타운은 대도시 근교에 위치하여 높은 녹지율을 자랑하며 문화행사, 편의시설 등이 완비되어있다. 특히 의료시설이 근거리에 위치하여 전문의료진이 상주하며 특화된 개인의료진료서비스를 제공한다. 부대시설로는 전문영양사가 상주하는 식당이 있어 입주자에게 개인맞춤식단을 제공한다. 또한, 여가생활을 위해 다양한 문화활동과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알 수 있듯이 노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중국상하이 노인이 원하는 양로원은 기존 한국의 실버타운의 개념에 의료시설이 접목된 CCRC형 실버타운에 가깝다. 또한 방문조사결과 회원제로 운영되는 호텔형 실버타운의 입주율이 70%가량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고급형 실버타운의 수요가 증가하리라 예상해 볼 수 있다

끝으로 한국과 중국은 노령화 속도가 빠른 국가이다. 더욱이 노령화 사회에 따른 사회간접비용 증가 역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용보다는 노인들의 여생을 보다 가치 있고 여유롭게 준비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주는 것이 우리 사회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한국과 중국에 노인들을 위한 좋은 생활환경과 의료시설이 구비된 양로원이나 실버타운이 늘어났으면 하는 바램이다.

제3기 한중금융아카데미 3팀B조
조장: 심성훈
조원: 조경연, 박재연, 남계림, 김진희

도표1 상하이 노인이 희망하는 실버타운 시설조건(중복응답)

자료: 上海城市老年公寓的现状调查与展望

도표2 상하이 노인이 희망하는 실버타운 시설조건(중복응답)
 
자료: 上海《运用市场机制推进老年公寓建设》课题第一阶段调研成果

ⓒ 상하이저널(http://www.shanghaibang.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laton@goodi.com    [김성태칼럼 더보기]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김성태칼럼] 中 인민폐&주식시장 전망 2011.06.03
    최근 이슈가 될 사항들에 대하여 집어보고자 중국인민폐의 향후 향방과 중국주식시장에 대한 내용을 생각해 본 사항인데, 제목을 써놓고 보니 좀 거창하다. 거시경제 전..
  • [김성태 칼럼] 제 3 회 한•중 금융아카데미를 시.. 2011.04.23
    필자도 상하이에 온 지 벌써 3년이 되어간다. 상하이에 오래 계신 분들 앞에서야 누구 앞에서 주름 잡는 격이지만, 세월의 빠름을 새삼 느끼는 요즘이다. 2008년..
  • [김성태 칼럼] 일본 지진과 각 산업별 영향 2011.03.19
    전세계가 한참 아프리카 주변의 민주화 이슈에 눈을 돌리고 있을 때, 너무나 갑작스럽게 참으로 참담하고 가슴이 미어지는 일이 바로 옆나라 일본에서 발생했다. 한국을..
  • [김성태 칼럼]하얼빈 빙등제를 가다! 2011.02.10
    -안중근의사를 추모하며- 낮기온 영하 22도의 하얼빈공항 2011년 새롭게 시작된다고 신문, 방송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고 한 게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벌써 달..
  • [김성태 칼럼] 2011년 재테크 지도 hot 2010.12.19
    아직까지 실감이 나지는 않지만 2010년 경인년(庚寅年)이 가고, 토끼띠의 해인 2011년 신묘년(辛卯年)이 눈앞에 다가왔다. 이제는 세월에 빠름에 좀 익숙해진..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7.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8.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9.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10.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5.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6.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10.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7.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8.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9.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