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창간 16주년 새필진과 새로운 도약!

[2015-10-09, 19:34:35] 상하이저널
전병서칼럼
전병서(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한국 금융업계에서 25년 일했다. 대우증권 상무, 한화증권 전무이사를 지냈다. 칭화대 경제관리학원(석사), 푸단대 관리학원(석사·박사)에서 공부했다. 한화상해투자자문, 상하이 총영사관 경제금융연구센터 초빙연구위원, 차이나데스크 자문위원을 지냈다. 금융기관, 정부, 기업체, 대학CEO, MBA, EMBA과정에 중국경제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중국의 대전환, 한국의 대기회:2015>, <한국의 신국부론, 중국에 있다: 2014>, <5년후 중국:2012>, <금융대국 중국의 탄생:2010>, <중국 금융산업지도:2011>, <중국은 미국을 어떻게 이기는가:2011> 등의 저역서가 있다.
·http://blog.naver.com/bsj7000

 

최정식칼럼
최정식(법무법인 지평 상하이대표처 수석대표)


법무법인 지평 상하이지사 지사장으로 2007년부터 근무 중이며 한국 본사에서는 6년간 중국업무를 담당했다. 북경어언문화대학과 화동정법대학 법률진수생 과정을 이수했으며 사법연수원의 초대 중국법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법제처 동북아법제자문위원회의 자문위원, 한중법학회의 이사, 상하이총영사관 고문변호사, 코트라 차이나데스크 자문위원, 상해한국상회 자문위원, 서안한국상회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중국 관련 논문으로는 <소주공업원구 법제에 관한 연구> 통일부, 2006, <중국의 해외투자 및 한국의 투자유치정책 연구>KOTRA, 2010, <중국 상표관리 종합메뉴얼> 특허청, 2010 등이 있다.
·jschoi@jipyong.com

 

송창의칼럼
송창의(유니월드서비스 상하이 대표)


한국무역협회에서 30여년간 중국경제관련 업무에 종사했다. 한국무역협회 홍콩/북경/상해 본부장 및 중국실/아주실/지역연구실장을 지냈다. 서강대(중국학 석사), 대만정치대(MBA)에서 공부했다. 한국무역협회 중국전문위원으로 무역아카데미, 대학, 기업체 등에서 우리 기업의 대중국교역 및 투자진출, 한중 FTA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네이버 카페 <중경살림>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으며, <중국진출 실무가이드>, <중국의 관세제도>, <한중 FTA와 정책시사점> 등을 펴냈다.
·daren@unistar.com

 

중국세무회계로 중국알기
나상원(pwc china partner 한국부 대표)


고려대 경영학과 졸업, 전 삼일회계법인 partner(상무), 전 상해한국학교 운영위원장, 현 pwc china partner(한국부 대표), 상해한국상회 자문위원
sang.won.la@cn.pwc.com

 

중국온라인 쇼핑몰을 말한다
송종선(杰薄斯贸易有限公司 부사장)

 


한국 KT그룹에서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온라인쇼핑 업무를 했다. 현재 중국 EC전문기업 杰薄斯에서 TMALL 한국관, B2C쇼핑몰 운영, 브랜드운영대행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jessica@accommate.com

 

상하이 리포트
신동원(네오위즈차이나 법인장)


200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중국지사장으로 부임한 후 현재까지 9년째의 중국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2006년 워싱턴대-복단대 Executive MBA를 졸업하고 본격적인 중국네트워크를 넓혔다. 2009년 LG유플러스를 거쳐 2010년에는 네오위즈차이나의 법인장으로 부임했다. 저서로는 <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가 있다.
·eliot.shin@gmail.com

 

키워드로 이해하는 중국브랜딩
김민수(메타브랜딩&디자인 총경리)


한국 브랜드컨설팅업계에서 23년 일했다. 메타브랜딩BBN 공동창업자로 부사장, 현재는 메타브랜딩&디자인 총경리로 상하이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연세대 경영학과(학사)를 졸업했다. SK, 포스코, 롯데, 코오롱, 연대 최고경영자 과정 등에서 강의하고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연수원 중국마케팅과정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 시장 브랜드 전략:2008>, <中國을 아는 브랜드 중국을 여는 브랜딩:2007> 등이 있다.
·http://cafe.naver.com/metachina

·http://blog.naver.com/gcakim

 

의료칼럼
이은화(침뜸 클리닉 원장)


중의침구학전공 의학박사. 의사(중의전공). 현재 만가중의원(万嘉中医门诊部)내 <구전(灸传)이은화 침뜸클리닉>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상하이중의약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에서 구당 김남수 선생의 뜸사랑 정통침구연구소에서 연구실장을 역임했다. 한국 포천중문의대(현, CHA의과대학) 대체의학과 대학원 석사. 전 서울대 의과대학 보완통합의학연구소 객원연구원, CHA의과대학교 객원연구원, 현 상하이시침구경락연구소 연구원. 박사과정은 상하이시외국유학생장학생으로 연구했고 중국973연구프로젝트 중 뜸연구 부분에 참여하고 있다. ‘평생 건강 생활 건강’에 뜻을 두고 구당 김남수 선생의 무극 보양뜸을 전하고자 지난 2009년부터 상하이에서 무료 뜸봉사를 실시하고 있다.
·shanghai93@naver.com
 
지능·학습·진로
황지혜(컨설턴트) 

 

황지혜 컨설턴트는 중고등 시절을 상하이에서 보내고 한국으로 대학을 진학했다. 취업 후 다년간 수많은 아이들을 직접 검사하고, 계발시키기 위해 훈련하며 몸소 느낀 아이들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심을 가졌다. 아동 지능관련 교육학에 눈을 떠 공부하며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교육을 받았다, 청담동 민성원연구소에서 3년간 지능 검사와 학습검사 담당으로 근무하며,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하고 아이 각각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해왔다. 그리고 약 10년만에 상하이로 돌아와 상하이 교민자녀들의 지능 학습 진로탐색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gyul86@naver.com

 

객원기자
최수정(케이트&키미 한국 비즈니스 팀장)  캐나다 기업 친환경 온라인마켓 케이트앤키미

 

(kateandkimi.com)에서 한국 비즈니스 관리 및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 저널에서 자유기고가로 맛집 및 다양한 주제의 기획 기사를 기재하고 있다. 대학교 1학년때 친구와 함께 온 중국 여행을 계기로 상하이의 매력에 반해 불문과에서 중문과로 전과. 졸업 후 상하이로 삶의 터전을 옮겨 직장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스웨덴 기업 EF잉글리시타운 상하이 오피스에서 온라인 마케팅 담당자로 4년 동안 근무했으며, 현재는 케이트앤키미에서 근무하면서 건강한 식생활과 웰빙 라이프 스타일을 상하이 거주 외국인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suechoi8888@gmail.com

 

아줌마이야기
중국 거주 평균 13년인 주부 4명의 상하이 생활 이야기. 아이들, 남편, 이웃들과 펼쳐지는 생활 속 에피소드와 중국 속 다양한 경험들을 독자들과 함께 나눈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상하이 각 구(区) 명칭, 어디서 유래했을까? hot 2015.10.13
    사찰이름을 딴 징안구(静安区)징안구에는 유명한 사찰인 징안사(静安寺)가 있다. 징안사는 중국 3국시대 손오(孙吴) 시기에 건축된 것으로 징안구의 명칭도 이 사찰의..
  • 가을이 지나는 거리 - 함께 걷기 좋은 상하이 가을.. hot 2015.10.12
    파란 물이 뚝뚝 떨어질 듯 한 하늘, 가을이다. 차 한잔 손에 들고 유유자적 산책길 나서기 좋은 상하이의 작은 거리들을 소개한다. 길어봐야 1Km에도 못 미치는...
  • 가을 황홀경, 단풍이 부른다 hot 2015.10.10
    장시 우위안(江西婺源)가을이 깊어갈 수록 우위안의 가을도 아름다운 빛으로 물들어 간다. 마을을 중심으로 어느 방향에서 우위안으로 진입하든 수십리에 걸쳐 사람그림자..
  • [축사] ‘정도(正道)’와 ‘중립(中立)’ 바른 정.. hot 2015.10.10
    세계 경제의 중심 도시인 이곳 중국 상하이의 대표 교민지인 상하이저널 창간 16주년을 축하드립니다. 이곳 교민사회가 자리잡고 성장한 배경에는 바로 상하이저널의 역..
  • [축사] 한·중 협력의 시대, 여론의 길잡이 기대 hot 2015.10.10
    우선 한·중 관계의 발전과정에서 화동지역 재외동포사회의 안전과 성장에 꾸준히 기여해온 상하이저널의 역할과 공로에 진심을 담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7.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8.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