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韩외교부 재외동포 현황 발표, 中 255만명 최다

[2017-10-30, 10:30:23] 상하이저널

중국 255만, 미국 249만, 일본 82만 순

재외동포 179개국에 743만 명 거주…2년 전보다 3.42%↑

 

외국에 거주하는 재외동포 숫자는 2016년 12월 31일 기준 743만664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외교부가 최근 발표한 '2017 재외동포 현황'에 따르면 이 수치는 2년 전보다 24만5천792명(3.42%) 늘어난 것이며, 증가율도 2015년의 2.45%보다 0.97% 포인트 높아졌다.

 

외교부는 재외공관의 보고를 취합해 2년마다 재외동포 관련 통계를 공개하고 있다. 재외동포 숫자는 1972년 집계 이래 2009년과 2013년을 제외하고 해마다 증가세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동포는 조사 대상 194개국 가운데 15개국을 제외한 179개국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동북아시아가 336만6656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북미 273만3194명, 유럽 63만730명, 남아시아태평양 55만7739명, 중남미 10만6784명, 중동 2만4천707명, 아프리카 1만854명 등의 순이었다.


 
동북아시아는 2.18% 감소세를 기록했고 아프리카와 중동도 각각 6.33%와 3.35% 줄어든 반면 북미(10.97%)와 남아시아태평양(9.23%)은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중남미와 유럽은 각각 1.46%와 0.58% 늘어나는 데 그쳤다.

 

나라별로는 중국(254만8천30명), 미국(249만2천252명), 일본(81만8626명), 캐나다(24만942명), 우즈베키스탄(18만177명), 호주(18만44명), 러시아(16만9680명), 베트남(12만4458명), 카자흐스탄(10만9132명), 필리핀(9만393명), 브라질(5만1534명), 독일(4만170명), 영국(3만9934명), 뉴질랜드(3만3403명), 인도네시아(3만1천91명), 아르헨티나(2만3194명), 태국(2만500명), 싱가포르(2만346명), 키르기스스탄(1만935명), 프랑스(1만6251명)의 차례였다.

 

조사 대상국 가운데 내전 중인 시리아와 소말리아를 비롯해 가이아나, 나우루,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바하마, 사모아, 소말리아, 쿡제도, 투발루 등에는 재외동포가 한 명도 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산마리노에는 1명, 바베이도스·안도라에 2명, 세인트루시아·예멘·지부티·코모로·콩고공화국 4명, 몬테네그로·카보베르데 6명 등이 거주하고 있다.

 

재외동포를 거주 자격별로 보면 475만8528명(64.0%)이 외국국적자(시민권자)이고 나머지는 영주권자 104만9210명(14.1%), 일반체류자 135만4220명(18.2%), 유학생 26만284명(3.5%) 등 재외국민이었다.
 



기사 저작권 ⓒ 연합뉴스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마윈, 쿵푸 영화 주연으로 출연 hot 2017.10.30
    알리바바 마윈(马云) 회장이 어릴 적 ‘배우’의 꿈을 실현하게 됐다. 화상천보(华商晨报)는 30일 마윈 회장이 최근 개인 웨이보(微博)에 자신의 영화 포스터를 공..
  • 中, 국제학교 설립 증가...교사 '부족' 현상 hot 2017.10.30
    中, 국제학교 설립 증가...교사는 '부족' 현상 중국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치열해지면서 국제학교가 늘고 있지만 이에 따른 교사 부족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작년...
  • 핸드폰 분실, '결제 어플' 보호는 이렇게! hot 2017.10.30
    핸드폰 분실 시, '결제 어플' 이렇게 보호하자 인터넷 시대가 되면서 사람들의 핸드폰에는 즈푸바오(支付宝), 위쳇 결제(微信支付) 등 '모바일 결제 어플'이 하나..
  • 세계 최초 '中 대형 화물운송 무인기' 시험비행 성.. hot 2017.10.30
    세계 최초 '中 대형 화물운송 무인기' 시험비행 성공 인력이 아닌 무인기가 화물 운송을 하는 시대가 머지 않았다. 중국과학원 공정열물성연구소(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
  • 상하이 '금연령' 시행 이후...빌딩 흡연신고 증가 hot 2017.10.29
    상하이 '금연령' 시행 이후...빌딩 흡연신고 증가 상하이 시정부가 '금연령'을 시행한지 어언 7개월이 지났다. 잘 지켜지고 있을까? 상하이 건강촉진위원회(市健...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8.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