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12.16] 바이두, 올해 중국의 핫 키워드 발표

[2020-12-16, 11:43:33]
중국은 지금… 2020년 12월 16일(수)
상하이방닷컴 shanghaibang.com

1. 바이두, 올해 중국의 핫 키워드 발표
핫한 키워드로 올 한 해를 정리하는 ‘2020 바이두페이뎬(百度沸点, 바이두 시상식)’이 14일 발표됐습니다. 바이두는 올해의 키워드, 사건, 눈물 포인트, 유행어, 인물, 드라마 등 총 14개 순위의 상위 10대 키워드를 발표했습니다. ‘올해의 키워드’에는 1위부터 순서대로 △전염병 발생 상황 △전면적 소강사회(全面小康) △마스크 △중국의 화성 탐사 △귀국 △항미원조 70주년 △중미관계 △겨우 서른(三十而已, 드라마) △청펑포랑더제제(乘风破浪的姐姐, 예능) △코비 사망이 선정됐습니다. 올해 첫 신설된 순위인 ‘올해의 생활방식’에는 △마스크 △라이브 방송 상품 판매 △재택근무 △온라인 강의 △야생동물 거부 △홈 트레이닝 △클라우드 소셜 △배달경제 △셀프이발 △국내여행으로 대부분 코로나19로 나타난 중국인들의 새로운 ‘집콕’ 문화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2. 中 본토 무증상감염자 5명…유치원 교사 포함에 비상
본토 확진자 증가세는 주춤했지만 본토 무증상자는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16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5일 하룻동안 중국 내에서 확인된 신규 확진자는 12명으로 모두 해외 입국자입니다. 지역 별로 보면, 상하이 3명, 광동 3명, 윈난 2명, 베이징 1명, 텐진, 푸젠, 산동 각 1명입니다. 이날 보고된 무증상 감염자 9명 중 5명이 본토에서 나와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무증상자 중 4명은 모두 다렌(大连)항에서 냉동 화물 운송 작업을 전담하는 직원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밖에 헤이롱장성 쑤이펀허(绥芬河)시에서 발생한 본토 무증상 감염자는 유치원 교사로 알려져 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3. 中 인민은행 “현금 거부 시 처벌” 재차 경고
코로나19로 각계에서 현금 결제 거부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자 중국 인민은행이 현금 장려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습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15일 <중국인민은행공고[2020]제18호>를 발표해 모든 주체는 현금 결제를 배제하거나 차별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공고는 대형 상업기관, 특히 도매, 유통, 요식, 숙박, 서비스업, 문화스포츠오락 등의 경영단체가 반드시 현금 지급 통로를 마련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는 앞서 지난 2018년에 발표된 공고에 비해 한층 더 세분화된 규정입니다. 2년 만에 같은 골자의 공고가 다시 발표된 것은 올 초 발생한 코로나19로 대중의 결제 인식에 영향을 끼쳐 현금 수취 거부 문제가 다시 대두됐기 때문입니다.

4. 中 모바이크 서비스 중단, ‘메이퇀’ 어플로 편입
오포(ofo)와 함께 중국 양대 공유자전거 업체로 꼽혔던 모바이크(摩拜单车)가 15일 서비스를 전면 중단했습니다. 15일 북경일보에 따르면, 모바이크는 2020년 12월 14일 23시 59분을 기점으로 모든 어플, 위챗 미니앱(小程序) 운영을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단, 기존 모바이크 가입자는 동일한 아이디로 메이퇀(美团)어플 또는 메이퇀 미니앱에서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이크 계정의 잔액, 이용권은 모두 메이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실상 모바이크가 메이퇀단처(美团单车)로 이름을 바꾸게 된 셈입니다. 앞서 메이퇀은 지난 2018년 4월 모바이크를 45억 5000만 위안(7613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지난해 1월 모바이크의 브랜드명을 메이퇀단처로 바꾸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5. 中 11월 민간투자, 연내 첫 플러스 성장
지난달 중국의 민간투자 성장률이 연내 처음으로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11월 전국 고장자산투자(농가 제외)는 전년도 동기 대비 2.6% 증가했습니다. 이는 1~10월에 비해 0.8%p 오른 수치입니다. 지난달 전국 고정자산투자는 전월 대비 2.8% 성장했으며 특히 민간 투자는 전년도 동기 대비 0.2% 증가하면서 연내 첫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분야 별로 보면, 인프라 투자가 1% 증가한 반면 제조업 투자는 3.5% 감소했습니다. 부동산 개발 투자는 6.8% 증가해 1~10월 성장률보다 0.5%p 올랐습니다. 

m.shanghaibang.com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7.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8.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9.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10.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5.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6.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10.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6.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7.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8.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9.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