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吴中路는 개발 중, 교민상권 ‘독’일까 ‘약’일까?

[2013-08-02, 23:06:44] 상하이저널
상하이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홍차오공항 인근 서(西)상하이 발전계획’에 따라 우중루 상권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중국의 대형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개발이 진행되면서 교민생활뿐 아니라 홍췐루(虹泉路) 상권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 같은 개발은 활발한 비즈니스와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쪽과 영업경쟁과 임대료 상승을 우려하는 교민으로 명함은 엇갈린다.

가장 큰 변화는 세계 500강 기업(137위) 화룬(华润)그룹에서 10억위안을 투자한 55만㎡ 규모의 완상청(万象城 MIXC)이다. 완상청은 외환선(동)-홍신루(서)-홍췐루(남)-우중루(북)까지 맞닿은 대규모 개발지구에 대형쇼핑몰 21만㎡, 호텔 3만㎡, 오피스빌딩 14만㎡, 박물관 0.5㎡ 등 11개 동이 건설된다. 내부에는 명품쇼핑관, 마트, 아이스링크, 영화관, 박물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완상청 건너편 라오홍징루(老虹井路) 입구에는 총 14만㎡ 규모의 딩허광장(顶禾商务广场 W square) 공사가 한창이다. 내년 완공예정인 딩허광장은 오피스빌딩 2동, 호텔 1동, 쇼핑센터 1동이 입주하게 된다.

또 옛 농심공장 부지에 올 4월 말 오픈한 홍싱메이카롱(红星美凯龙 MACALLINE)은 4만㎡의 가구쇼핑몰이다. 현재 중국 85개 도시에 115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세계 최대 가구쇼핑몰로도 알려져 있다. 2010년 중국민영기업 500강 19위 랭킹되기도 했다. 총 8층(지상6층, 지하2층) 건물에 약 160여개 국내외 브랜드가 입점해 있으며, 지하 1층에는 300㎡의 커피숍, 도서공간 등 문화레저구역이 들어서 있다.

이 일대가 개발속도를 냄에 따라 8년째 철골구조만 드러낸 채 흉물로 전락한 건물의 개발에도 관심이 쏠린다. 철골구조 상태로 공사가 중단된 쇼핑몰 ‘청청프로젝트(成城项目)’는 2010년 홍콩 셩난실업(胜南实业)이 이 일대 30만㎡ 대규모 개발지구와 함께 인수했다. 셩난실업 지분의 45%를 보유한 홍싱그룹(红星集团)이 최근 홍싱메이카롱을 오픈하자 앞으로 청청프로젝트 개발도 어떤 식으로든 진행될 것이라는 것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청청샹무 운영과 관리는 신화미디어그룹(新华传媒)이 맡고 있다.

교민상권과 밀접한 홍신루, 홍췐루에도 새로운 오피스빌딩 개발이 진행 중이다. 청학골, 삼다도 등 한국음식점이 입점한 1만7000㎡의 디바오(帝宝国际大厦)는 2008년 1기 완공에 이어 올해 6월 2기 공사를 마쳤다. 북쪽건물 1층에 BMW 자동차 판매전시장을 비롯 80~90개 오피스가 들어서게 된다.

또 홍췐루 지샹(吉祥)호텔 뒤편에 2만㎡의 오피스빌딩 2개 동이 들어선다. 징팅실업(井亭实业)이 1억2900만위안을 투자한 이 빌딩에 병원(치과, 성형외과 등)이 입주할 것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개발상에 따르면 대부분 오피스 입주가 결정됐으며 징팅톈디(井亭天地)스타일로 운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우중루 상권의 화려한 변신은 ‘코리아타운’으로 불리는 홍췐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치솟는 임대료와 치열한 영업경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민상권, 이 같은 변화를 어떻게 맞아야 할까.

▷고수미 기자
 
<吴中路 개발에 따른 교민상권의 준비>
우중루 일대에 오피스, 쇼핑몰 개발이 한창이다. 이 개발이 교민들에게 ‘피해’가 아닌 ‘기회’가 되도록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주변 상권변화를 미리 읽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지혜를 모으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上_우중루 상권 어떻게 바뀌나
下_교민상권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①MIXC_上海万象城
①MIXC_上海万象城
 
①MIXC_上海万象城 ·건평: 55만㎡ ·완공예정: 2015.11

①MIXC_上海万象城

총 55만5000㎡의 규모로 대형쇼핑몰 21만㎡, 호텔 3만㎡, 오피스빌딩 14만㎡, 박물관 0.5㎡ 등 11개동으로 2015년 연말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에 있다.

·건평: 55만㎡

·완공예정: 2015.11

 
 
②W square_顶禾商务广场
②W square_顶禾商务广场
 
②W square_顶禾商务广场 ·건평: 14만㎡ ·완공예정: 2014. ·吴中路1666号

②W square_顶禾商务广场

딩허(顶禾)개발회사의 중국 내륙에서의 첫 종합 프로젝트로 오피스빌딩2개동, 쇼핑센터와 호텔 1개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건평: 14만㎡

·완공예정: 2014.

·吴中路1666号

 
③M红星•美凯龙 ·건평: 10만㎡ ·오픈: 2013.4 ·吴中路1388号

③M红星•美凯龙  

홍싱메이카롱(红星美凯龙)은 4만㎡의 가구쇼핑몰, 160여개 국내외 일류 브랜드 입점해 있다. 8층(지상6층, 지하2층)으로 지하1층에는 300㎡의 문화레저체험구역을 들어서 있다. 현재 중국 85개 도시에 115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건평: 10만㎡

·오픈: 2013.4

·吴中路1388号

 
④帝宝国际大厦  ·건평: 1.7만㎡ ·2차오픈: 2013.7 ·虹莘路3998号

④帝宝国际大厦

2008년 완공된 디바오(帝宝)는 청학골, 삼다도 등 한국음식점과 회사 80~90개가 입주해 있다. 최근 북쪽건물 공사를 마치고 2차 오픈과 함께 1층에 BMW 자동차 판매전시장이 들어섰다.

·건평: 1.7만㎡

·2차오픈: 2013.7

·虹莘路3998号

 

⑤井亭实业(건물명 미정) ·건평: 2만㎡·완공예정: 2013.11·吴中路1351号

⑤井亭实业(건물명 미정) 

지샹(吉祥)호텔 뒤편으로 들어서는 2개 동의 오피스빌딩. 징팅(井亭)실업공사가 1억2900만위안을 투자한 이 빌딩은 지난해 11월 1호 건물(8000㎡) 완공에 이어 2호(1만2000㎡) 건물이 올 연말 목표로 건설 중이다.

·건평: 2만㎡

·완공예정: 2013.11

·吴中路1351号

 

전체의견 수 1

  • 아이콘
    상하이박 2013.08.04, 03:14:45
    수정 삭제

    지금 교민들이 많이 사는곳에 건물들 주인이 거의 대만 사람들이고
    홍첸루가 커질수록 그들만 배부르고 언젠가 우리는 쫓겨나게 될것이다.
    미국 엘에이 뉴욕 등 교민사회도 그랬다.....
    우리 한국인들이 지혜를 모아야 한다.
    20~30년후 자식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