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우리말 이야기⑯] 불란서와 프랑스

[2016-04-15, 17:03:26] 상하이저널

[우리말 이야기⑯]
불란서와 프랑스


‘프랑스(France)’를 흔히 ‘불란서(佛蘭西)’라고들 하는데, 이는 중국말로는 ‘France’에 아주 가깝게 발음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말로 읽으면 별로 비슷해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불란서’라는 말은 중국 사람들이 ‘France’를 자기네 말에 가깝게 옮긴 한자를 다시 우리 식으로 읽은, 기형적인 발음인 셈이지요. 따라서 우리는 그냥 우리말로 ‘프랑스’라고 쓰고 그대로 읽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구라파(歐羅巴;Europe)’, ‘희랍(希臘;Greece)’, ‘나전(羅甸;Latin)’, ‘서전(瑞典;Sweden)’, ‘서반아(西班牙;Spain)’, ‘정말(丁抹;Denmark)’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연히 ‘유럽’, ‘그리스’, ‘라틴’, ‘스웨덴’, ‘스페인’, ‘덴마크’라고 써야 옳겠지요. 어떤 나라, 어떤 종족의 말이든 본래 발음에 비교적 가깝게 적을 수 있는 것이 우리말의 특별히 빼어난 점 아니겠습니까?

 

다만,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thern Ireland’를 ‘영국(英國)’으로, ‘United States of America(USA)’를 ‘미국(美國, 또는 米國)’으로 쓰는 것은 원래 이름이 너무 긴 만큼 줄여 쓰는 편리함을 인정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달러(dollar)’를 뜻하는 ‘$'를 ‘불(弗)’로 적는 것은 발음이 아니라 모양을 따온 것으로, 애교스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보기로 든 것들은 한자 표기를 써야 할 까닭이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가끔 ‘France'의 ‘f’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어 우리말이 서양말을 완벽하게 옮기지 못하는 불완전한 언어라고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흔히 ‘f’를 소리 낼 때 ‘프’와 ‘후’ 중간쯤으로 소리 내려고 애쓰는데,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f'건 'p'건 ’ㅍ‘으로 표기되었다면, 우리말로 쓰인 그대로 ‘ㅍ’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물론 세종임금 당시의 훈민정음 표기에는 ‘f' 소리에 해당하는 'ㆄ’도 있었고, 'v' 발음과 거의 같았을 ‘ㅸ’도 있었습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런 발음을 할 필요성이 사라졌기에 자연스레 쓰지 않게 되었을 뿐입니다.

차라리 ‘고어(古語) 표기 되살려 쓰기’ 운동이라도 벌인다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은 쓰지 않는 다양한 우리말 고어 표기들을 되살린다면, 한국어 표기법은 세계 어느 나라 어느 발음이든 그야말로 거의 완벽하게 적을 수 있는 최상의 문자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겁니다. 하긴 지금 현재의 24자만으로도 세계 어느 문자도 흉내내기 어려운 훌륭한 표기 체계입니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이후 현재까지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재직 중이다.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월간 <우리교육> 기자 및 출판부장(1990~1992), <교육희망> 교열부장(2001~2006) 등을 역임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강좌를 비롯하여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편집위, 한겨레문화센터, 다수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 기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리말과 글쓰기 강의를 해오고 있다. 또한 <교육희망>,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논술) 강좌 등을 기고 또는 연재 중이다.
ccamya@hanmail.net    [김효곤칼럼 더보기]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2017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2 hot 2016.04.17
    2017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특례 아니면 여기에 집중하라② 특례, 특기자전형 보다는 선호도가 높지 않지만 학생부종합전형 역시 수능최저가 적용..
  • 잊어서는 안 될 '국내강제징용' 2016.04.16
    [학생기자 논단] 몇 달 전 방영된 가 대한민국의 아픈 현대사를 다루며 국외강제징용 실태에 무지했던 국민들에게 뼈있는 일침을 날렸다...
  • 2016 스트로베리 뮤직 페스티벌 hot 2016.04.16
    봄볕 아래 펼쳐지는 중국 최대 음악 축제 2016 스트로베리 뮤직 페스티벌 한국가수 혁오밴드․EXID 참여
  • [책읽는 상하이 24강]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hot 2016.04.16
    대중적 언어로 이야기하는 예술의 정수 1980년대 민족문학을 이끈 대표적인 시인·논객 ‘김형수 작가’
  • 호주 요리 전문점 KAKADU hot 2016.04.15
    캥거루 고기, 크로커다일 버거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호주 이색 요리를 만나보자! 카카두(KAKADU)는 개성 가득한 호주 정통 요리 전문점으로, 2008년 개업한..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10.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