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띄어쓰기 확인 - 띄어쓰기 공백에 따라 단어로 구분되어 그리고 (AND) 조건으로 검색됩니다.

뉴스 검색결과 : 13 개
  • [7.7]위챗, 금전거래 전자 영수증 발급한다…법적 효력 ‘有’ hot
    전했습니다. 매체는 한국의 ‘국민 식품’ 김치의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음에도 불구, 쓰촨 파오차이(泡菜)가 국제 파오차이 기준으로 지정됐다는 소식은 한국인의 민족적 자긍심을 크게 자극했다고...
    2021.07.07
  • 中 매체 “기원 논쟁에도 한국 음식점 70% 중국산 김치에 ‘투항’” hot
    매체는 한국의 ‘국민 식품’으로 여겨지는 김치의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촨 파오차이(泡菜)가 국제 파오차이 기준으로 지정됐다는 소식은 한국인의 민족적 자긍심을 크게 자극했다고...
    2021.07.06
  • 中 언론 “中 왕홍 김치 담갔다 韓 누리꾼 댓글 폭격”…현지 누리꾼 ‘조롱’ hot
    고 있다고 전했다.그러면서 리즈치가 쓰촨(四川)성 출신임을 강조하며 쓰촨성 메이산(眉山)은 ‘중국 파오차이(泡菜)의 고향’임을 재차 강조했다. 약 1500여 년 전부터 이곳에서 김치를 제조했다고 주...
    2021.01.12
  • 서경덕 교수, 中 바이두에 ‘김치의 기원은 중국’ 내용 항의 hot
    관련 자료를 첨부해 바이두에 설명된 내용을 반박했다.이후 바이두 측은 중국의 절임채소를 가리키는 파오차이(泡菜) 단어 설명 중 “파오차이의 제조법은 300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고 한국의 김치의...
    2020.12.09
  • aT, 김치레시피북 발간 기념 런칭쇼 개최 hot
    대한 별도 위생기준 없이 자연발효를 거치지 않은 김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채 ‘열처리 된 중국 파오차이(泡菜)’ 위생기준(100g당 대장균군 30마리 이하)을 적용하여 사실상 중국 수출길이 막혀...
    2016.12.22
  • 中国이라고 쓰고 ‘중궈’라고 읽는다 hot
    있다. 하지만 그것은 신라면이 아니고, 김치, 짜장면이 아니고, 족발이 아닌 “신라몐, 짜장몐, 파오차이, 주~티"이다. 관점과 마인드 모두 ‘中国=중궈’보이는 것 그대로 그것에 더해서 우리가 이...
    2015.08.05
  • 순댓국밥·청국장 중국어로 뭐지? hot [2]
    상하이 한식당 메뉴판, 중국어 표준번역과 달라김치 표기 파오차이(泡菜) VS 신치(辛奇) 검증 후 확정키로 한식당 밀집지역에 중국인 고객이 급증하면서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간판이다. 이제 중...
    2014.06.14
  • 국립국어원, 김치 중국어번역 '파오차이(泡菜)' 보류 hot [1]
    식인 '김치'의 중국어 번역은 확정하지 않았다. 이는 중국 현지에서 통칭되는 김치 명인 '파오차이'(泡菜)가 있으나 절임음식을 의미하므로 발효음식인 우리나라 김치를 나타내는 데 적절하지 않...
    2014.05.27
  • 김치 중국명, ‘신치’ 아닌 ‘파오차이’ hot [1]
    김치의 공식 중문명이 '신치(辛奇)'에서 '파오차이(泡菜)'로 다시 변경되었다. 한국은 지난해 12월 ‘김치’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신청을 마쳤다.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2014.05.19
  • 김치의 중국이름 ‘신치(辛奇)’ hot
    서 영문 표기를 ‘Kimchi’로 정했다. 하지만 김치의 공식 한자 이름은 없어 중국에서는 한국식 파오차이라는 의미로 ‘한궈 파오차이’(韓國 泡菜)로 불렀다. 파오차이는 중국에서 배추를 발...
    2013.11.08
  • [홍창표의 차이나워치] 김치는 파오차이(泡菜)가 아니다
    “한국의 김치 독은 쓰촨성의 김치 독을 모방한 것이다. 한국 김치 역시 약 1500년 전 중국의 파오차이가 한국으로 건너가 김치가 된 것”이라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파오차이는 무•당근 등에 ...
    2012.02.02
  • “김치 원조는 중국(?)” hot [4]
    권을 내세우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달 중순 중국 법제일보(法制晚报)는 쓰촨(四川) 파오차이(泡菜)가 기록상 1500여 년 전부터 만들어졌다며 1300년 전에 한국으로 전파되어 한국 ...
    2009.08.13
  • 中김치까지 국가무형유산추진
    나 발효시킨 겨울 음식을 만들어 먹고 있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김치를 ‘라바이차이(辣白菜)’ ‘한궈파오차이(韓國泡菜)’ ‘차오셴파오차이(朝鮮泡菜)’ 등으로 부르며 중국의 전통 절임식품과 구분하고 있...
    2006.12.07
검색결과 : 13    페이지 : 1   
1